-
수두증(물뇌증) 원인, 3대 증상, 예후, 약물치료 그리고 완치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아동학 2025. 3. 26. 13:54반응형
목차
수두증(물뇌증)은 임상에서 일하면서 간혹 만나볼 수 있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우리 일상에 노출이 되는 질환이고 아이를 가진 초보 부모라면 수두증(물뇌증)에 대해서는 꼭 알고 계셔야 우리 아이를 키울 때 예방할 수 있고 필요시 빠른 치료를 통해 좋은 예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수두증(물뇌증)의 원인, 증상, 예후, 그리고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수두증(물뇌증) 원인
수두증 중에 폐쇄성 수두증(obstructive hydocephalus)은 거미막아래(지주막하, subarachnoid mater)에 낭종이 발생해서 뇌실이 막히거나, 세 번째 뇌실과 네 번째 뇌실을 연결해 주는 대뇌 수도관(cerebral aqueduct)이 막히게 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뇌 수도관이 막히는 것을 대뇌수도관협착증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네 번째 뇌실 속의 낭종, 소뇌 발달 이상이 같이 동반되는 댄디-워커증후군(Dandy-Walker syndrome)이 주요 원인이 됩니다.
교통성 수두증(communicating hydrocephalus)은 조산으로 아기가 태어날 때 뇌실의 출혈에 의해서 응고된 혈액 덩어리가 뇌실을 막거나 혈액 덩어리가 흡수되는 과정에서 거미막의 염증발생으로 뇌척수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도록 방해해서 발생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감염(예, 뇌수막염 등)에 의한 고열을 동반한 거미막의 염증과 손상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고, 머리에 외상, 종양, 뇌 속 출혈, 척추갈림증, 중추신경계 감염을 가진 아동들에게서 수두증이 같이 발생합니다.
척추갈림증과 같이 동반되는 수두증은 마름뇌(hind brain)의 변형으로 나타나는 아놀드-키아리 기형 제2형과 관련이 있습니다.
2. 수두증(물뇌증) 증상
머리에 뇌척수액이 차오르기 때문에 뇌실이 커지면서 머리 크기도 같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뇌압이 상승해서 뇌를 압박해 여러 가지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수두증이 어느 정도 진행된 아동은 머리크기가 정상 표준편차 범위를 넘어서게 됩니다. 머리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은 앞숫구멍(anterior fontanelle)이 팽윤(bulging)되어 두개골의 봉합이 분리되고 뇌압의 상승으로 인해서 두피에 정맥흐름에 장애가 발생해 정맥팽창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세 번째 뇌실에 뇌척수액이 고여 팽창하면 중간뇌로 그 압력이 전달돼서 안구가 아래쪽으로 치우쳐져 일몰 눈(sunset eye)과 내사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른 증상들로는 뇌압 상승으로 인해 잘 먹지 못해 많이 마르고 야위며 반복적으로 구토를 합니다. 그리고 폐쇄성 수두증 아동은 계속 잠만 자려고 하고 두통을 호소합니다. 반면에 성인이 되면 뇌압의 상승은 없지만, 치매, 요실금, 그리고 보행장애 등과 같은 기능장애가 나타납니다.
즉, 대표적인 수두증(물뇌증)의 3대 증상은 보행장애, 배뇨-배변장애, 인지장애로 볼 수 있습니다.
3. 수두증(물뇌증) 진단 및 평가
어린아이들은 머리둘레 측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앞숫구멍의 팽윤 된 정도와 압력 그리고 안구움직임(안구운동)을 검진해야 합니다. 아동에서는 구토와 두통을 동반하고 안저검사 시 유두부종이 관찰됩니다. 의학적 진단을 위해서 머리 X-ray, 머리 초음파, 뇌 CT, 뇌 MRI, 방사선 동위원소 뇌조영술을 실시합니다.
수두증(물뇌증) 아동의 머리둘레 평가 4. 수두증(물뇌증) 치료
4-1) 약물 치료
수두증 아동의 약물치료는 아세타졸라마이드(acetazolamide), 푸로세미드(furosemide) 등 약물들은 맥락얼기에서 뇌척수액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뇌척수액의 흡수를 촉진합니다.
4-2) 뇌척수액 배액술
뇌척수액이 많아서 뇌압이 상승하는 것을 뇌실 천자를 통한 배액술 또는 세 번째와 네 번째 허리뼈(L3-4) 사이로 천자해서 경막과 거미막밑 공간의 뇌척수액을 배액 하여 평가할 수 있습니다.
4-3) 단락술(shunt)
얇은 관을 뇌실에 삽입해 뇌척수액을 얇은 관을 통해서 가슴 또는 배 안으로 보낸 후 흡수되도록 하는 수술입니다. 중간에 밸브를 설치해서 뇌압의 정도에 따라 뇌척수액의 양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단락술은 급성으로 수술이 시급한 경우에 시행하면 좋지만, 감염의 우려, 삽입된 관의 막힘 우려, 그리고 뇌척수액의 과다 또는 과소 배출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A: 뇌실-심방 단락술 B: 뇌실-배안 단락술 글 마무리
아이를 낳고 키우다 보면 신생아 그리고 영유아 검사 시 머리둘레를 측정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이유가 여러 가지 지만 그중에 가장 중요한 이유는 수두증(물뇌증)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동의 뇌 성장에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수두증을 예비 엄마 아빠나 초보 엄마 아빠들이 잘 알고 아이를 돌보면 좋겠습니다.
척추갈림증 원인, 분류,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척추갈림증 원인척추갈림증 분류척추갈림증 증상 척추갈림증은 이분척추(spina bifida)라고도 하며, 척추갈림증을 가지고 태어난 아이들은 신경, 근육, 피부 등에 여러 가지 증상들이
universe-meta.com
반응형'아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수성 근위축증 원인, 증상, 수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2025.04.01 진행성 근이영양증(근디스트로피) 진단 및 평가, 물리치료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2편). (0) 2025.03.31 진행성근이영양증(근디스트로피) 원인, 증상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편). (0) 2025.03.29 척추갈림증 진단 방법과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0) 2025.03.27 척추갈림증 원인, 분류,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2025.03.25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치료: 약물, TMS, 감각통합치료, 운동치료 중점으로 알아보겠습니다. (0) 2025.03.24 발달성 협응장애는 무엇인가? 특성, 진단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0) 2025.03.24 자폐스펙트럼 장애 원인, 특징, 증상, 진단 기준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0) 2025.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