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 사경)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
    아동학 2025. 4. 5. 20:27
    반응형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은 신생아나 영아에서 태어날 때부터 목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나타나는 근육 질환이다.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 사경)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해알아보고 언제 병원에 가야하는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 사경)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목차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의 원인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은 출산 중 압박, 분만 시 외상, 태내 위치 이상, 근육 혈류 공급 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출산 중 손상: 산도에서 나올 때 목 근육이 눌리거나 잡히면서 근육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 태내 자세 이상: 태아가 자궁 내에서 장시간 비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근육이 불균형하게 발달하는 경우
    • 혈류 장애: 흉쇄유돌근에 일시적인 혈류 차단이 발생하면 근육의 섬유화로 이어질 수 있다
    • 다태아 임신 또는 난산도 위험 요인 중 하나다

    일반적으로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의 단축 또는 비대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원인들은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의 근육 단축 및 경직을 유발하며,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두개변형(플라지오세팔리), 척추 측만증 등 이차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의 분류

    1.  x-ray상에는 정상이지만 흉쇄유돌근에 덩어리가 만져지며 종양에 의해 근육의 섬유에 변성을 일으켜 구축이 발생하는 휸쇄유돌근의 종양 기운목
    2. 흉쇄유돌근에는 덩어리가 만져지지 않지만 단단하고 x-ray상 정상인 선천성 근육 기운목(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3. 흉쇄유돌근에 단단함이 없고 덩어리가 만져지지 않으며 x-ray상에 정상이 자세성 기운목(postural torticollis)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의 증상과 특징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은 출생 직후 또는 생후 수주 내 다음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 아기의 머리가 한쪽(문제되는 쪽)으로 기울고, 반대 방향으로 얼굴이 돌아가 있음
    • 목을 회전시키기 어려워하며, 특정 방향으로만 눕는 경향
    • 흉쇄유돌근이 두꺼워져 목을 돌려야 할때 몸 전체를 돌림
    • 만졌을 때 흉쇄유돌근 부위에 단단한 덩어리(가성 종양)가 느껴짐
    • 장시간 방치 시 머리 비대칭, 안면 비대칭 발생 가능
    • 두 눈을 수평으로 맞추기 위해서 목 척추의 옆굽음증, 어깨가 올라가는 보상자세
    • 고개를 좌우로 움직이거나 똑바로 세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 손상 측으로 팔을 뻗는 기능과 같은 소근육 운동과 대근육 운동의 발달을 저하시킴
    • 신체인지, 체중을 이동시키는 자세와 같은 신체조절, 보호반사에도 영향을 미침

    이러한 증상이 생후 2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아기의 머리가 점점 기울어질 경우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을 의심하고 전문의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의 의학적 진단 방법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은 대부분 소아정형외과 전문의의 신체 진찰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검사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초음파 검사: 흉쇄유돌근의 비대나 섬유화 상태 확인
    • X-ray 또는 MRI: 선천성 척추 이상, 신경학적 문제, 골격계 이상을 감별, 선천성 기운목 5-20%가 엉덩관절 이형성을 동반함
    • 시각 추적 검사: 사시나 시력 문제로 인한 가성 기운목 감별

    정확한 진단은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의 물리치료학적 진단 및 평가

    물리치료사는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평가를 시행합니다.

     

    ① 촉진 (Palpation)

    • 흉쇄유돌근의 긴장도, 두께, 결절, 통증 유무 확인
    • "근육 내 혹(가성종양)"이 있는지 평가

    ② 관절 가동 범위 검사 (ROM Test)

    • 경추의 회전 및 측굴 가동 범위를 측정하여 기울기 정도 파악
    • 제한이 심한 쪽의 근육 단축 정도 확인
    • 손을 뻗게 하거나 머리바로잡기 반응(righting reaction)동안 능동적인 머리움직임 확인 함, 각 110도 정도를 기준으로 평가

    ③ 근력 검사 (Manual Muscle Test)

    • 머리를 중립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지 평가
    • 항중력 움직임에 대한 반응 확인
    • 손을 잡고 일으키는 동작 그리고 옆으로 바로잡기 반응을 통해 목굽힘근과 가쪽굽힘의 근력을 확인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 사경)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선천성 기운목 손잡고 일으키는 동작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 사경)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선천성 기운목 가쪽 바로작기 반응

     

    ④ 자세 평가 (Postural Assessment)

    • 아이의 누운 자세, 앉은 자세에서의 대칭성, 중심선 유지 여부 확인
    • 척추 정렬과 골반 위치까지 종합적으로 평가
    • 척추측만증 여부 확인
    • 얼굴의 비대칭, 머리뼈 변형 확인

    ⑤ 운동 기능 평가 (Motor Function Test)

    • 아이의 대근육 운동 발달 단계를 확인 (예: 머리 들기, 굴러가기 등)
    • 양측 대칭적인 움직임 여부 평가

    ⑥ 발달 반사 검사 (Primitive Reflexes)

    • 모로 반사, 긴장성 경부반사(ATNR) 등의 잔존 여부 확인
    • 개월 수 또는 나이에 맞는 소근육, 대근육 운동기능을 평가
    • 신경학적 문제와의 감별 진단에 매우 중요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의 치료법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은 조기 발견 시 물리치료가 90% 이상 효과적입니다. 치료는 크게 의학적 치료와 물리치료로 나뉘며, 상태가 심할 경우 수술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① 의학적 치료 및 수술적 치료

    만약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이 1세 이후까지 호전되지 않거나, 물리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치료가 고려됩니다.

    • 약물 치료: 근육 이완제 등을 통해 흉쇄유돌근의 긴장도 조절 (드물게 사용됨)
    • 보톡스 주사: 근육 이완을 유도하여 스트레칭 효과 향상
    • 수술적 치료: 흉쇄유돌근 절개술 또는 연장술 시행, 일반적으로 만 1세 이후 물리치료가 실패한 경우 선택, 수술 후에도 물리치료 병행 필수

    의학적 치료는 반드시 소아재활과, 정형외과, 신경과 전문의와의 협진 하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물리치료 방법

    - 운동치료

    • 마사지: 흉쇄유돌근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혈류를 촉진
    • 스트레칭: 제한된 측굴 및 회전 동작을 수동적 또는 능동적으로 반복
    • 근력운동: 반대측 근육을 강화시켜 근육 균형 회복
    • 자세유지 훈련: 정상 정렬 자세 유지 훈련 및 교정적 환경 제공 (예: 양쪽 번갈아 눕히기), 짐볼 위에서 자세 바로잡기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 사경)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A: 견인, B: 정상측으로 가쪽굽힘, C: 정상측으로 돌림, D: 손상측으로 돌림, E: 손상측으로 돌림과 굽힘, F: 정상측 가쪽굽힘과 돌림상태에서 신장

     

     

     

    - 물리적 인자치료

    • 초음파 치료 (Ultrasound Therapy): 흉쇄유돌근에 적용하여 조직의 유연성 증가, 통증 완화, 근육내 선유화 방지
    • 적외선 치료 (Infrared Therapy): 따뜻한 열로 근육 이완 유도, 마사지나 스트레칭 전 시행 시 효과 상승, 혈류 개선 및 통증 감소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 사경)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선천성 기운목 추음파 치료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 사경)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선천성 기운목 마사지

     

     

    - 보조기

    목을 가누는 4-5개월 이후의 아동의 목을 움직임을 만들거나 유지하거나 혹은 제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관보조기(tubular orthosis)
    • 부드러운 칼라(collar)

    보조기는 정상쪽으로 가쪽 굽힘이 10도 정도 가능하거나 손상측으로 머리를 들어올리는 가쪽 머리 정위반응이 가능할때 착용 가능합니다. 아동이 개어있는 시간의 80% 이상 착용하도록 하고, 5도 이상의 머리 기울기를 가진 아동이 계속적으로 움직이고 운동 수행능력이 가능할때 착용해야 합니다.

     

     

    - 보호자를 위한 교육: 물리치료사의 역할

    물리치료사는 보호자 교육을 통해 치료의 일관성과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보호자가 일상에서 아이를 올바르게 관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교육을 제공해야 합니다.

    • 정확한 스트레칭 방법 교육: 보호자가 직접 시행할 수 있도록 자세와 강도, 시간 설명
    • 자세 유도 교육: 수면 자세, 놀이 자세에서 고개를 자주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방법
    • Tummy Time 훈련법 안내: 하루 몇 분씩 점차 시간을 늘리며 시행하는 방법
    • 재평가 기준 안내: 치료 반응 평가 시기, 변화가 없는 경우 병원 재방문 시점 안내
    • 보조기 사용법과 관리법: 올바른 착용법과 주의사항 전달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에서 병원 방문이 필요한 시점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즉시 소아과나 소아정형외과 전문의를 방문하여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 생후 2~3개월이 지나도록 고개 기울기가 호전되지 않을 경우
    • 머리나 얼굴 비대칭이 점점 심해질 경우
    • 흉쇄유돌근에 혹이 지속적으로 만져질 경우
    • 아이가 목을 거의 움직이지 않거나 통증을 표현할 경우
    • 물리치료를 2개월 이상 시행해도 뚜렷한 개선이 없는 경우는 재진료 필요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면 단순한 선천성 기운목(Congenital Torticollis)을 넘어서, 척추, 신경, 시각계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조기 진료가 필수입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