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뇌성마비 보바스치료, 보이타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아동학 2025. 3. 16. 22:03
목차보바스(bobath) 치료보이타(vojta) 치료 뇌성마비는 완치할 수 없는 질환입니다. 그래서 많은 재활치료를 통해서 아동의 신체적 기능과 정서와 인지 기능을 향상시킴으로 증상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재활치료의 중요성은 모두 다 알고 계시겠지만 현재 뇌성마비아동의 부모님들이 아동에게 재활을 시키는 이유는 수명유지를 제외하고는 사회인으로서 경제적 활동을 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이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이는 뇌성마비 아동 개개인이 갖고있는 장애의 정도(심각성)마다 다르겠지만, 추후 시간이 지나 나중에 부모의 부재에도 독립된 생활이 가능하길 바라는 마음이 크다는 설문연구결과들을 본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뇌성마비 아동들이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
-
뇌성마비 치료: 약물, 수술 종류와 시술방법 중점으로 알아봅시다아동학 2025. 3. 14. 22:05
목차약물치료화학적 신경차단술정형외과적 수술 뇌성마비 아동의 치료의 종류, 재활, 방법, 관리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표적인 재활치료는 물리치료, 작업치료, 그리고 언어치료가 있는데 가능한 빠르게 시작할수록 아동에게 좋습니다. 재활치료 자체는 부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뇌성마비 아동의 치료에 대해 알고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약물치료1) 강직 조절을 위한 약물강직과 같은 비정상적인 근육의 긴장도로 인해 통증이 있거나 자세를 조절할 수 없을 때 사용됩니다. 그러나 효과를 예측하기 어려우며 약물에 대한 부작용이 있어 지속적으로 사용하기에 어렵습니다. 2) 간질 조절을 위한 약물간질을 조절하기위한 약물은 mysoline, mesantoin, milontin, tridione, para..
-
뇌성마비 증상: 지능, 인지, 신체, 운동장애, 기능장애 등 자세히 알아봅시다 -2편-아동학 2025. 3. 13. 21:31
목차운동장애운동장애 형태에 따른 임상증상지적장애간질성 경기감각장애심리적인 문제삼킴장애 뇌성마비 1편에서 알아봤듯이 임신 중에 태아의 뇌실확장에 대한 이슈가 있으면, 시각, 청각, 운동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뇌실 내 출혈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뇌실확장 이슈가 있다면, 뇌실 내 출혈 4단계 중 3단계를 의심해 볼 수 있어 출생 후 시각, 청각, 운동장애 등의 증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을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 1편에 이어 뇌성마비의 대표적인 증상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운동장애 뇌성마비 아동의 주요 증상은 움직임이 어려운 것입니다. 3가지 문제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일차적 손상에 의해 발생한 문제입니다. 직접적인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근력, 근 긴장도, 균형능력 감각, 선택적인 움..
-
뇌성마비 원인과 분류 제대로 알고 대비하자! -1편-아동학 2025. 3. 12. 22:40
뇌성마비(cerebral palsy)는 아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특히, 진단, 평가, 재활 그리고 사회적 복귀 혹은 지원이 필요한 질환입니다. 대게는 의사의 진단에 의해 빠르게 발견되나 뇌 손상으로 인한 마비, 강직, 기능장애, 언어장애 등 심각한 장애들을 포함하고 있어 뇌성마비 아이를 돌보기 위해서는 먼저 뇌성마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뇌성마비의 정의뇌성마비는 태아, 영아의 뇌에 발생한 비진행적인 손상이 아동의 감각, 지각, 인지, 행동장애, 의사소통, 그리고 경련 등이 동반되는 운동 및 자세의 장애를 발생시켜 움직임과 활동의 제한이 나타나는 임상 증후군입니다. 국제 기능, 장애 및 건강분류(ICF)의 용어인 활동 제한(activity limitation)의 개념이 포함되어..
-
우리 아이 운동 발달: 전문가 편 (0-12개월)아동학 2025. 3. 11. 23:02
아이들의 발달지연이 많이 발생하는 요즘 처음으로 엄마, 아빠가 된 부모님들은 우리 아이가 제대로 성장하고 발달하는지 잘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12개월(첫 돌) 이전에 아이들은 아직 말로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통 운동발달로 우리 아이의 정상발달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0-12개월 영아의 대동작 운동발달(development of gross motor)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아의 출생 후 12개월까지의 대동작 운동발달을 생후 0-3개월 발달단계를 1단계, 4-6개월까지 2단계, 7-9개월까지 3단계, 그리고 10-12개월까지 발달단계를 4단계로 구분합니다. 1단계 움직임 (0-3개월)이 시기의 핵심 움직임은 머리정렬(head alignment) 즉, 목 가누기입니다. 이 시기에..